문제 설명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(a1, a2, a3, ..., an)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-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-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-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-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[제한사항]
- 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- 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-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-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[입출력 예]
sresult
| "{{2},{2,1},{2,1,3},{2,1,3,4}}" | [2, 1, 3, 4] |
| "{{1,2,3},{2,1},{1,2,4,3},{2}}" | [2, 1, 3, 4] |
| "{{20,111},{111}}" | [111, 20] |
| "{{123}}" | [123] |
| "{{4,2,3},{3},{2,3,4,1},{2,3}}" | [3, 2, 4, 1] |
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입출력 예 #1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3
(111, 20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11}, {111,20}}이 되며, 이는 {{20,111},{111}}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4
(123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23}} 입니다.
입출력 예 #5
(3, 2, 4, 1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3},{3,2},{3,2,4},{3,2,4,1}}이 되며, 이는 {{4,2,3},{3},{2,3,4,1},{2,3}}과 같습니다.
아이디어 및 알고리즘
- 이 문제의 핵심은 '{' ',' '}' 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. 먼저 '{' (대괄호)가 튜플을 감싸는 배열인지 그 요소인지를 구분하는 지표로서 스택을 사용해 구분하도록 했다. Stack에 '{' 가 짝수개일 경우는 원소들이 있는 집합을 의미하고 그외는 집합이 끝나는 구분과 튜플 전체 '}'를 닫는 마지막을 의미한다.
- 그리고 ',' 는 원소들의 구분과 집합의 구분을 뜻하도록 하여 한번 순회할때 이런 기호들로 나누어 조건을 명시해주었다. 원소값이 한자리 수가 아닐수도 있기 때문에 잘 나누어주어야 했다.
소스 코드
|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|
public static int[] solution(String s) {
int[] count = new int[100001];
Stack<Character> st = new Stack<Character>();
int len = s.length();
int total_count=-1;
int num_count =0;
int num=0;
for(int i=0;i<len;i++) {
if(s.charAt(i) == ',') {
if(st.size() % 2 == 0) {
num_count =0;
count[num]+=1;
}
else {
continue;
}
}
else if(s.charAt(i) == '{') {
st.push('{');
total_count++;
}
else if(s.charAt(i) == '}') {
st.pop();
if(!st.isEmpty()) {
num_count=0;
count[num]+=1;
}
}
else {
if(num_count ==0) num = s.charAt(i)-'0';
else num = num * 10+(s.charAt(i)-'0');
num_count++;
}
}
int []change_arr = new int[501];
int[] answer = new int [total_count];
for(int i=0;i<count.length;i++) {
if(count[i]>0) {
change_arr[count[i]]=i;
}
}
int i=0;
for(int x=change_arr.length-1;x>=1;x--) {
if(change_arr[x] >= 1) {
answer[i]=change_arr[x];
i++;
}
}
return answer;
}
|
코드 설명
- 하나의 집합을 검사할때마다 해당 집합안에 원소들을 count하여 1개 이상을 같는 원소들을 추려냈고 튜플의 배열을 만들기 위해서 나오는 빈도수가 많은 순서로 수를 배열해야 했고 change_arr[count[i]]=i을 통해 count[i] = 빈도수 , i = 튜플의 원소로 재배열 했다.
- 마지막 for문에서 change_arr을 answer로 할당해주어 해결하였다.
후일담
다른 사람들의 코드르 봤을때 아직도 배워야할 부분들이 많다는걸 느꼈고 좀 더 효율적으로 풀 수 있도록 연습해야겠다.
카카오는 역시 쉽지 않다...
'알고리즘(Java) > programm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JAVA] 완주하지 못한 선수(코딩테스트 고득점 Kit[해시]) - LEVEL1 (0) | 2020.08.13 |
|---|---|
| [JAVA] 징검다리 건너기 (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) - LEVEL3 (0) | 2020.08.09 |
| [JAVA] 호텔 방 배정 (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) - LEVEL4 (0) | 2020.08.08 |
| [JAVA] 불량 사용자 (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)-LEVEL 3 (0) | 2020.08.07 |
| [JAVA]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(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)-LEVEL1 (0) | 2020.08.04 |